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바 람 이 어 라 Silk Rode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417)
이슈상자 (108)
음악상자 (35)
영화상자 (32)
미술상자 (7)
사진상자 (5)
유머상자 (61)
맛상자 (37)
낙 서 (25)
일본어상자 (56)
얼추 일본어 교실 (24)
추악한 언론, 포털 행태 박제 (24)
Total
Today
Yesterday
728x90

1. 청음     清音

2. 탁음     濁音

3. 반탁음  半濁音

4. 발음     撥音

5. 요음     拗音

6. 촉음     促音

7. 장음     長音

 

 

이번에는 일본어 7가지 음 중 마지막 장음 이다.

장음. 말 그대로 장음이다. 길게 발음하면 된다.

 

그런데 일본어서 장음은 둘로 나눠서 설명해야겠다. 쉬운거부터,

 

1. 가타카나 단어에서 장음

주로 외래어를 표기 할 때 가타카나로 표기하는데, 이 때 장음은 빼기 표시(-) 같은 것으로 표기한다.

 

シーソー      コーヒー

     (시ー소ー  놀이기구)      (코ー히ー   커피)

 

장음도 한 박자 길이 만큼 발음해야 함으로, 위의 두 단어 모두 4박자로 발음해야 한다.

결국 가타카나 단어에서 빼기 표시 같은거(장음)은 길게 발음하면 끝!

 

 

2. 히라가나 단어에서 장음.

이게 좀 어렵다. 어렵다고 해도 7개의 공식 중 2개만 좀 어렵고 나머지는 그닥...

그럼 그 7개의 공식을 먼저 살펴보자.

 

 

히라가나 단어에서의 장음 7가지 공식

1. あ단글자 +

2. 단글자 +

3. 단글자 +

4. 단글자 +

5. 단글자 +

6. 단글자 +

7. 단글자 + う

 

 

위와 공식과 같은 상황에서 + 뒤에 오는 あいうえお 부분이 장음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면 감이 안올테니 예를 들어보자.

 

1. あ단글자 + あ    

お  あ さ ん  (어머니)

오      아   사   앙     (글자 하나 하나의 발음)

오   카   ー   사   앙     (실제 발음)

 

위와 같이 두번째 글자 "카"는 길게 발음 하면 "카~~아"와 같이 "아"만 남는 あ단 글자이다.

바로 그 뒤에 또 "아"글자가 왔으니 이 단어를 "오카아사앙"이라고 발음하면 그게 오히려 더 어색하고 이상할 것이다.

위 공식 7가지 중 1번부터 5번까지는 모두 이와 같은 원리라고 보면 된다.

 

2. い단글자 + い    

お  い さ ん  (할아버지)

오      이   사   앙     (글자 하나 하나의 발음)

오   지   ー   사   앙     (실제 발음)

 

 

3. う단글자 + う    

く  き  (공기)

크      키     (글자 하나 하나의 발음)

크   ー   키     (실제 발음)

 

 

4. え단글자 + え    

お  え さ ん  (누나 / 언니)

오      에   사   앙     (글자 하나 하나의 발음)

오   네   ー   사   앙     (실제 발음)

 

5. お단글자 + お    

お と  と  (남동생)

오   토      토     (글자 하나 하나의 발음)

오   토   ー   토     (실제 발음)

 

 

반면에 6번 공식과 7번 공식은 안쓰던 머리를 굴려서 외워야 한다.

예를 들어보자.

 

 

 

6. 단글자 +

 

せ ん せ い  (선생님)

세 엔 세 이  (글자 하나 하나의 발음)

 

세 엔 세 ー  (실제 발음)

 

 위 "선생님" 단어의 세번째 글자"세"는 길게 발음하면 "세~~~에"와 같이 "에"만 남는 え단 글자이다.

그 뒤에 공식과 같이 바로 い가 오기 때문에 저 단어는 "세엔세이"라고 발음하지 않고, "세엔세-"라고 발음해야 한다.

 

 

 

7. 단글자 + う

 

お と う と   (남동생)

오 토 우 토   (글자 하나 하나의 발음)

오 토 ー 토   (실제 발음)

 

위 단어는 "남동생"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로서 ,

두번째 글자"토"는 길게 발음하면 "토~~~오"와 같이 "오"만 남는 お단 글자이다.

그 뒤에 공식과 같이 바로 う가 오기 때문에 저 단어는 "오토우토"라고 발음하지 않고, "오토-토"라고 발음해야 한다.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728x90

1. 청음     清音

2. 탁음     濁音

3. 반탁음  半濁音

4. 발음     撥音

5. 요음     拗音

6. 촉음     促音

7. 장음     長音

 

 

이번에는 요음, 촉음을 살펴보겠다. 우선 요음.

 

5. 요음     拗音

 

き や  ・  き ゆ  ・  き よ

키       야                        키       유                       키       요

위 두 글자는 청음 두 글자로 "키야  키유  키요"라고 각각 발음하면 된다. 하지만,

 

きゃ  ・  きゅ  ・  きょ

위와 같이 "키" 글자 옆에 "야  유  요"를 작게 해서 아래쪽에 붙여쓰면 한 글자로 취급하여

"키"와 "야  유  요"를 한꺼번에 발음해서 "캬  큐  쿄"라고 발음되는 문자가 된다.

 

이러한 소리를 요음이라고 하고, 윗 글자 캬  큐  쿄는 "요음 한 글자"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요음을 만들 때 야 유 요는 아무데나 붙이는 것이 아니라 (い를 제외한) い단(길게 읽었을 때 이 로 발음되는 글자들) 글자에만 붙일 수 있다.

표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 표와 같이 다양한 요음들을 만들 수 있다.

덧붙여 위 표에는 히라가나 요음이 적혀 있는데, 가타카나로 외래어 표기 등에 사용할 때에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요음을 표기한다.

 

(요음이 사용된 단어 예시)

 

かしゅ (가수)          しょくじ (식사)

카 슈                       쇼   크지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728x90

앞서 살펴본 50음도 글자들 중 ん (ン)을 제외한 나머지 글자들을 청음이라고 한다.

오래전 일본인들은 이 청음만 가지고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었지만 문명이 발달하고 외국과 교류가 이뤄지면서 더 많은 음을 표현할 수 있는 글자가 필요하게 되었다고 한다.

 

 

(가뜩이나 50음도 외우기도 어려웠을 그들은 새로운 음을 표현할 새로운 문자를 만들어 그것을 외워 사용하기 보다는,

기존 50음도 있는 글자에 작은 기호를 붙여 사용하는게 편하지 않나 하는 생각했을까러고 추측해본다.)

 

 

그렇게 해서

1. 청음     清音

2. 탁음     濁音

3. 반탁음  半濁音

4. 발음     撥音

5. 요음     拗音

6. 촉음     促音

7. 장음     長音

 

 

이렇게 7가지 음이 생겨나게 된다.

어찌보면 50음도에 있는 글자만 가지고 의사소통을 하려면 어쩔 수 없는 현상이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음이의어가 많기 때문에 한자와 가타카나를 섞어 표기하는 것이 아닐까.

 

 

1. 청음     清音

2. 탁음     濁音

앞서 언급했듯, 50음도 글자들 중 ん (ン)을 제외한 글자들은 청음으로 분류하고, 탁음을 살펴보겠다.

 

[50음도 탁음]

 

위 표와 같이 20개 (4 * 5)의 음이 탁음에 해당하겠다.

청음과 탁음을 잘못 발음 하는 순간 엉뚱한 말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하겠다.

 

예를 들어보자.

 

일본에서 외국인들로 가득한 교실에 일본어로 자기 소개를 해야하는 A씨가 있었다.

한 명씩 앞에 나와 일본어로 간단히 자기 소개를 해야하는데 일본어가 서툰 A씨가 다급히 B에게 묻는다.

 

A : 야야... 한국인이 일본어로 뭐지?

B : 그거 캉코쿠진 이잖아.

A : 그럼 조센진 은 뭐야?

B : 그거 조선인 인데, 일본에서는 북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던데...

A : 아 ~ 그래.. 알겠다.

 

A씨는 일본어로 말할 수 있는 어휘를 동원해서 자기소개 말을 생각해 봤다.

 

처음뵙겠습니다.

저는 한국인 입니다. (한국인 : かんこくじん)

저는 대학생 입니다. (대학생 : だいがくせい)

앞으로 잘부탁드려요. 

A씨는 차례가되자 앞에 나와 자기소개를 한다. 하지만 잔뜩 긴장한 나머지,

 

はじめまして。

わたしは ちょうせんじん です。

あっ! いいえ、わたしは かんごくじん です。

わたしは たいがくせい です。

どうぞ よろしく おねがいします。 

 

라고 말해버린다. 그가 한 말을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처음뵙겠습니다.

저는 조선인(북한사람) 입니다.

앗! 아니, 저는 감옥인(죄수) 입니다.

저는 퇴학생 입니다.

잘부탁드려요.

 

ㅡ.ㅡ;;;;

 

왜 청음, 탁음을 잘 구별해서 말해야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일화라 할 수 있겠다.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728x90

[그림A]

 

[그림B]

가타카나 50음도이다.

외래어를 표기할 때 사용하는 문자이다.

여기서 "외래어"라는 말과 "외국어"는 구분할 필요가 있겠다.

 

외국어는 외국에서 외국인들이 지금 현재 쓰고 있는 언어가 되겠고, (Radio 레이디오)

외래어는 그 외국어가 다른 나라에 들어와서 그 나라말로 변형된 형태가 되겠다. (우리는 라디오 / 일본은 라지오)

 

 

적잖은 사람들이 가타카나를 외우려다 일본어 공부를 포기하곤 하는데,

일단 외워두면, 외래어 표기에 사용되는 단어이기 때문에 해석은 손쉽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림B]는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를 함께 써 둔 표인데,

몇 몇 글자들은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글자가 서로 엇비슷한 경우가 많으니 외울 때 참고할 수도 있겠다.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728x90

[그림 A]

[그림 B]

 

오늘날 일본의 (히라가나) 50음도표를 살펴보면 거의 [그림 A]와 같다.

하지만 글자 수를 다 세 봐도 50글자가 안되는데 왜 50음도표라고 부르는 것일까?

 

 

[그림 A]와 [그림 B]는 둘 다 히라가나 50음도 표이다.

 

두 표의 차이는 무엇일까?

[그림 A]에 글자가 빠진 부분이 있다는 것이 차이이겠다.

[그림 A]에는 야/유/요

[그림 A]에는 와/오

 

[그림 B]에는 야/(이)/유/(에)/요

[그림 B]에는 와/(이)/(우)/(에)/오

 

원래 50음도표는 [그림 B]와 같이 50개의 글자에 ん(응 이라고 읽고 우리말의 받침과 같은 역할을 함)을 첨가했기에 50음도표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러던 것이 중복되는 음이 있어 오늘날에는 [그림 A]와 같이 생략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어를 공부하겠다고 한다면,

그리고 저 표를, 그 글자들을 외워야 한다.

이것이 첫번째 난관!

 

알파벳 소문자를 외우지 않고 어떻게 영어공부를 할 수 있겠는가 !!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728x90

 

일본의 문자

1. 히라가나 : 순수 일본어를 표기하는데에 사용

2. 가타카나 : 외래어, 의성어/의태어, 강조 할 때 사용

3. 한자 (주의 : 일부 한자는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와 모양이 다름)

 

"~가나"라는 말은 글자를 의미하는데,

일본어로 히라히라 라고 하면 팔랑팔랑 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즉 히라가나는 팔랑거리는 글자, 즉 구불구불한 글자라는 의미가 되겠다.

때문에 부드러운 여성스러운 글씨체라고도 하고, 실제로 옛날 일본에서는 여인들이 편지나 일기 글을 쓸 때 사용했다고 한다.

 

위 히라가나 50음도표에서와 같이 히라가나 글씨를 쓸 때에는 곡선 형태를 살려서 쓰면 좀 더 히라가나 스럽다 할 수 있겠다.

(그렇다고 아무렇게 구부려서 쓰면 이집트 상형문자가 될 수도 있으니 주의)

 

 

[덧붙여]

50음도 표를 보면 행(行)과 단(段)이 있다.

이는 나중에 문법을 설명할 때 자주 등장할 용어로 꼭 공부해둬야할 용어가 되겠다.

 

행(行)은 같은 자음을 가진 글자들로 예를 들어

あ行은    あ い う え お

か行은    か き く け こ          

 

와 같이 다섯 글자씩 묶음이 되겠지만,

 

や行은    や ゆ よ

わ行은    わ を

 

와 같이 다섯 글자의 묶음이 아닌 경우도 있다.

 

 

단(段)은 같은 모음을 가진 글자들로 총 다섯개의 단(段)이 있다.

 

あ段  길게 발음했을 때 "아~" 소리만 남는 글자들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

い段  길게 발음했을 때 "이~" 소리만 남는 글자들

う段  길게 발음했을 때 "으~" 소리만 남는 글자들

え段  길게 발음했을 때 "에~" 소리만 남는 글자들

お段  길게 발음했을 때 "오~" 소리만 남는 글자들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