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바 람 이 어 라 Silk Rode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417)
이슈상자 (108)
음악상자 (35)
영화상자 (32)
미술상자 (7)
사진상자 (5)
유머상자 (61)
맛상자 (37)
낙 서 (25)
일본어상자 (56)
얼추 일본어 교실 (24)
추악한 언론, 포털 행태 박제 (24)
Total
Today
Yesterday
728x90

 

[주의점]

1. 학생을 히라가나로 "가크세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나 실제 발음은 "각-세-"로 한다.

 

2. 중학교의 중을 ㅈ 으로 발음해서 "쥬-각-코-"로 발음하지 않고, "츄-각-코-"로 발음하도록 유의한다.

 

3. 고등학교 라는 단어가 따로 있으나 줄여서 고교로 대체해서 "코-코-"라고 한다.

   우리가 XX공등학교를 XX고 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

 

4. 대학교를 "다이각-코-"라고 한다고 해서 대학을 "다이각-"으로  발음하는 것은 아니다.

 

5. 대학생을 "다이각-세-"라고 발음하는데, 실수로 "타이각-세-"라고 발음하면 퇴학생이 됨으로 발음에 주의한다.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728x90

형용사와 형용사

 

편의상 い형용사, 형용사 라고 하긴 하지만 일본어를 10품사로 나누었을 때

형용사는 형용사로 분류하고,

형용사는 형용동사로 분류한다.

 

 

형용사

형용사

おいしい

맛있다

しずかだ

조용하다

おいし うどん

맛있 우동

しずか へや

조용

おいしいです

맛있습니다

しずかです

조용합니다

おいしくて やすい 

맛있 싸다

しずか きれいだ

조용하고 깨끗하다

 

형용사란 명사를 꾸며주는 것으로 우리말로 해석 했을 때 "~한"으로 사용되는데,

위표에서 보다시피 명사를 꾸며줄 때 즉,

우동을 꾸며줄 때 い로 명사와 연결되어 (おいし うどん) 형용사

방을 꾸며줄 때 な로 명사와 연결되어 (しずか へや) 형용사

로 각각 불린다.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728x90

 

 

[존재]

 

사물 / 식물

사람 / 동물

있다/있습니다

ある / あります

いる / います

없다/없습니다

ない / ありません

いない / いません

 

주의점

위의 ありません 대신 ないです를 いません 대신 いないです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정중한 표현은   ありません, いません 을 사용한다.

 

 

 

[단정]

 

긍정

부정

일상어

これは かばんだ

これは かばんでは ない

이것은 가방이다.

이것은 가방이 아니다.

정중어

これは かばんです

これは かばんでは ありません

이건은 가방입니다.

이것은 가방이 아닙니다.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728x90

 

지시어 (こそあど)

 

 

사물 (~)

장소 (~)

방향 (~)

この

これ

이것

ここ

여기

こちら

이쪽

その

それ

그것

そこ

거기

そちら

그쪽

あの

あれ

저것

あそこ

저기

あちら

저쪽

どの

어느

どれ

어느 것

どこ

어디

どちら

어느 쪽

 

주의점

1. 우리말에 이것저것, 여기저기, 이쪽저쪽 이란 말 때문에 해석 순서에 주의

2. こそあ는 이 / 그 / 저 순으로 말하는 사람을 기점으로 점점 멀어지는 것에 초점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728x90

 

인원 수 세기

 

 

( なんにん : 몇 명 )

一人

二人

三人

四人

五人

ひとり

ふたり

さんにん

よにん

ごにん

 

六人

七人

八人

九人

十人

ろくにん

しちにん

はちにん

きゅうにん

じゅうにん

 

1명부터 10명을 일본어로 말 할 때 주의해야 할 곳은,

ㄱ.  1명, 2명을  いちにん、ににん이 아니라는 것.

ㄴ.  4명을 しにん이나 よんにん으로 발음하지 않도록 할 것.

ㄷ. 11명을 じゅうひとり / 12명을 じゅうふたり로 발음하지 않도록 할 것.

 

11명부터는 숫자 뒤에 にん을 붙여 발음.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728x90

いか 오징어

수족관에 살아 움직이는 오지어  :  一匹 (いっぴき)

생선가게 진열된 오징어  :  一杯 (いっぱい)

건어물 가게 말린 오징어(するめ)  :  一枚 (いちまい)

 

 

 

ざるそば   자루소바   :  一枚 (いちまい)

かけそば 가케소바   :  一枚 (いちまい)

 

 

 

はがき 엽서

(쓰기 전) 1장 : 一枚 (いちまい)

(쓴 후) 1통 : 一通  (いっつう)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728x90

「複合名詞」 N(명사) + V(동사)型

1. 行為名詞:草取り、魚釣り、綱引き

2. 行為者名詞:絵描き、嘘つき、人殺し

3. 道具名詞:栓抜き、箸置き、車止め、水入れ、郵便受け、霧吹きね、ねじ回し、帯留め

4. 時間名詞:夜明け、日暮れ、昼下がり

5. 場所名詞:村はずれ、山沿い、車寄せ

6. 状態名詞:二日酔い、すし詰め、水ぶくれ



「副詞」

1. 状態副詞:動作・作用の状態を表す 「のんびり」

  (의성어・의태어는 상태부사에 속함) (의성어는 가타카나/의태어는 히라가나 표기가 원칙)

2. 程度副詞:性質や状態の程度を表す 「とても」

3. 陳述副詞:あとに特定の表現がきまっている 「おそらく ~ だろう」



「動詞」

1. 活用の観点から  

  ⓐ 五段動詞

  ⓑ 一段動詞

  ⓒ する/くる


2. 「テンス」の観点

   ⓐ 状態動詞 과거형은 과거를 나타내고, 현재형이 미래를 나타냄 降る・住む

   ⓑ 動作動詞 과거형은 과거를 나타내고, 현재형은 현재를 나타냄 ある・いる

  

3. 「アスペクト」の観点

   ⓐ 状態動詞 「ている」形 이 될 수 없음 (ある・いる)

   ⓑ 継続動詞 「ている」形 으로 동작의 계속성을 나타냄 (走る・見る)

   ⓒ 瞬間動詞 「ている」形 으로 결과의 상태를 나타냄 (壊れる・結婚する)

     ⓓ 形状動詞 「ている」形 으로 늘 사용됨 (似る・そびえる・優れる・ばかげる・ありふれる・ずば抜ける)


4. 「自立性の度合い」の観点

   ⓐ 本動詞 본래의 의미를 나타냄  (来る・行く)

   ⓑ 補助動詞 본래의 의미가 옅어지고, 별도의 문법적 의미를 타타냄  (てくる・ていく)

   

5. 「命令形・意志形が本来の意味を表すか」の観点

   ⓐ 意志動詞 명령형, 의지형이 본래의 의미를 나타냄  (行く・食べる)

   ⓑ 無意志動詞 명령형은 願望, 의지형은 推量 를 나타냄  (降る)

    

6. 「受け身文になれるか」の観点 (이러한 구별은 무리가 있다고 지적받기도 함)

   ⓐ 能動詞 수동문 가능  (読む・泣く・いる)

   ⓑ 所動詞 수동문 불가  (ある・見える・話せる)

   

7. 「直接目的語をとるか」の観点

   ⓐ 自動詞 직접 목적어(ヲ格)를 취하지 않음 (座る・歩く)

   ⓑ 他動詞 직접 목적어(ヲ格・二格)를 취함 (殴る・噛みつく)

   



「形容詞」 (~がる 접속의 관점)

感情形容詞:人の感情や感覚を表す (うれしい・悲しい・欲しい・痛い・寒い)

      보통 현재형은 1인칭에 사용 (의문문 안에서는 2인칭에도 사용)

                 3인칭에는 그대로 사용할 수 없음 (~がる・~らしい・~ようだ・~と思っている 꼴로 사용하여야 함)


属性形容詞:人やものの属性(客観的な性質・特徴)を表す (太い・薄い)

                ~がる를 붙일 수 없음

                (예외) 強がる 허세를 부리다  粋がる 세련된 체하다  新しがる 유행을 쫓다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728x90

(신명조 약자 미지원으로 일본식 한자로 표기되어 있지 않음)

 

일본의 한자음은 대체적으로 아래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상고음(上古音), 오음(吳音), 한음(漢音), 당음(唐音), 관용음(慣用音)

 

 

 

일본 한자음의 모체(母體)는 중국의 한자음이다.

그런데 중국의 한자음은 역사적인 변화가 있었고 지역에 따라 음이 각기 달랐다.

때문에 중국 한자음의 시대적, 지역적인 특징이 일본 한자음에 반영되어 한 글자에 몇 종류의 음()이 생겨나게 되었다.

(현대 일본 漢子음의 주층()을 이루고 있는 것은 오음(吳音)과 한음(漢音)이다)

 

 

 

1. 상고음(上古音) :

 

금석문(金石文)이나 만요가나(万葉仮名) 중에 보이는

(),()」「()

와 같은 한자음을 말하는데 어떤 체계의 음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2. 오음(吳音) :

 

56세기에 중국 남부 지방의 음이 전해졌다고 하는 설이 유력.

전래 과정에 대해서는 한반도를 경유했다는 설과 오나라 지방 사람으로부터 직접 전래받았다고 하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전자 쪽이 유력.

불교 용어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말에 남아 있음.

 

行事(ぎょう) : 행사

有無(うむ) : 유무

金色(こんじき) : 황금색

世間(せけん) : 세간

人間(にんげん) : 인간

正體(しょうたい) : 정체

殺生(せっしょう) : 살생

成就(じょうじゅ) : 성취

動物(どうぶつ) : 동물

最期(さいご) 마지막, 최후

末期(まつご)(죽을 때, 임종할 때)

() : 그림

(ごう) : 의 일본식 오음

 

 

 

 

3. 한음(漢音) :

 

수나라에서 당나라에 걸쳐 중국에서 귀국한 유학생, 승려나 일본에 온 중국인에 의해 전래된 낙양(洛陽), 장안(長安) 지역의 음. 당시 일본에서는 漢音吳音에 대해 정음(正音)이라고 불리워져 漢音에 의한 한자음의 통일 움직임이 있었지만, 이미 일본어에 오랫동안 사용되어 자리를 잡은 오음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했다고 한다.

그 결과 오음과 한음이 병용됨.

한음은 오음에 비해 생산성이 높아 현대어에서 새로운 말을 만들 경우에는 한음이 사용됨.

 

行動(こうどう) : 행동

(さつじん) : 살인

期間(きかん) : 기간

正解(せいかい) : 정해

明白(めいはく) : 명백

經歷(けいれき) : 경력

成功(せいこう) : 성공

末期(まっき) : 말기,

(かい)

作業(ぎょう) : 작업

 

 

 

 

 

 

 

 

4. 당음(唐音) :

 

송음(宋音) 또는 당송음(唐宋音)이라고도 불리움.

당나라 말에서 송나라, 원나라, 청나라까지 전래된 것을 일괄해서 부르기도 함.

각각 다른 성격의 자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음은 오음, 한음에 의한 한자음 체계가 일본에 정착한 이후 문물과 함께 전래된 것이 많아서 오음이나 한음에 비해 양적으로 적고 한자음으로서의 영향도 적음.

 

 

椅子(いす) : 의자

布團(ふとん) : 이불

(みん) : 명나라

(しん) : 청나라

杏子(あんず)(살구)

 

 

 

 

 

5. 관용음(慣用音) :

한자 본래의 발음에서 보면 잘못된 것이나 오독(誤讀) 등에 의해 관용상 인정하게 된 한자음.

 

 

消耗(しょうこう=> しょうもう) : 소모

洗滌(せんでき=> せんじょう) : 세척

攪亂(こうらん=> かくらん) : 교란

 

 

 

*한가지 주의할 것*

한자음과 같은 계통의 한자음으로 읽히는 것이 보통입니다만, 그 중에는 관용적으로 혼동하는 예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正氣(しょうき): 제정신, 下品(げひん): 품위가 없음, 埋沒(まいぼつ): 매몰오음 한음으로 되어 있고, 言語(げんご): 언어,食物(しょくもつ): 음식물한음 오음으로 되어 있습니다.

 

 

 

들어온 시기와 경로에 따라서 바뀌기도 함.

 

 

오음(吳音)으로 읽혀지는 단어

(奈良시대에 중국의 오()나라에서 받아들인 한자어로 불교어가 많음)

 

世間(せけん)

人間(にんげん)

最期(さいご)

末期(まつご)(임종의 때)

金色(こんじき)

() / (ぎょう) / (ごう)

 

 

한음(漢音)으로 읽혀지는 단어

(平安시대에 중국의 낙양, 장안에서 받아들인 한자어로 현대에 가장 많이 남아 있음)

 

動物(どうぶつ)

人間(じんかん)(세상)

末期(まっき)

(きんこ

(かい) / (こう) / (ぎょう)

 

 

당음(唐音)으로 읽혀지는 단어

(鎌倉시대에 받아들여진 한자어로 주로 禪宗관계의 단어가 많음)

 

杏子(あんず)(살구)

行脚(あんぎゃ)(도보여행)

火燵(こたつ)(난방기구)

蒲團(ふとん

風鈴(ふうりん)(처마에 매단 풍령)

暖簾(のれん)

竹箆(しっぺい)(대막대기)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728x90

「ものだ」「はずだ」「わけだ」의 차이

 

1. 「~ものだ」

동사(사전형・부정형)+ものだ

일반적으로 어떤 사항에 관해 상식적으로 당연한 것,
원래 그러한 법이다는 뉘앙스를 담고 있음.

(ものだ 예)

学生は 勉強するものだ。            학생은 (원래) 공부하는 것이다.
人の運命は わからないものだ。    사람의 운명은 (원래) 모르는 것이다.



또、「동사タ形+ものだ」의 경우는,
1. 과거의 일을 회상
2. 놀람, 감탄을 나타냄


(1번 예)
子どものころは、毎日外で遊んだものだ。   어릴 때는, 해외에서 놀았었지.
(2번 예)
インターネットで買物ができるなんて、      인터넷으로 물건을 살 수 있다니,
便利になったものだ。                             편리해졌구나.


하지만, 「はずだ」, 「わけだ」와의 차이에 관해서는 이 예문들이 아닌, 먼저 언급한 (ものだ 예)와 대조해야함.

 

 

2. 「~はずだ」

동사 (사전형、タ형) + はずだ


논리나 지식에 근거하여 생각한 결과로서 말하는 사람이 확신하고 있음을 나타냄.

(말하는 사람이 그렇다고 생각함)


(예)
彼は 学生だから、勉強しているはずだ。   그는 학생이기 때문에, 공부하고 있는 것이다.
父は1時間前に家を出たから、                아버지는 1시간 전에 집에서 나갔기 때문에,
もう会社に着いたはずだ。                      이미 회사에 도착하신 것이다.

 

또, 앞 문장의 내용을 받아서, 그 내용을 감안하면 "~~은 딩연하다"라고 표현할 때
「~はずだ」를 사용.

(예)
A「花子さん、もうすぐ結婚するんだって!」         하나코씨, 이제 곧 결혼한다며~
B「なるほど、どうりで元気になったはずだ」         그렇군. 어쩐지 밝아(건강)보이더군.

이 경우에는 「~はずだ」는、「~わけだ」로 바꿔 쓸 수 있다. 같은 의미임.
B「なるほど、どうりで元気になったわけだ

 

 

3. 「~べきだ」

그것을 하는 것이 옳다(바르다, 마땅하다) 라고 강하게 말하는 의미

(예)

JLPT に受かりたいなら、たくさん勉強するべきだ。 JLPT에 붙고 싶다면, 많이 공부해야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이 마땅하다) 

 



4. 「~わけだ」

위에서 언급한「~はずだ」와 같은 용법 외에,

앞 문장에서 언급한 내용을, 뒷 문장에서 「言い換え」를 하는 용법이 있다.

(예)
A 私は今、大学4年生です。                                저는 지금, 대학 4학년생 입니다.
B それじゃあ、来年はもう社会人になるわけだ。      그럼, 내년에는 이제 사회인이 되는 것인가.



出かけるとき、財布に1万円札あったのに、             나갈 때, 지갑에 만엔 있었는데,

帰ってきたら2千円しかなかった。                        돌아왔더니 2천엔 밖에 없었다.
きょうは8千円 使ったわけだ。                             오늘은 8천원 쓴 셈이다.

 

 「わけだ/はずだ」의 차이

【1】「わけだ는 당연, 필연, 납득을 나타내고, 어떤 전제로부터 논리적으로 생각된 결론에 이르다는 것을 단정적으로 나타내는 표현. はずだ에도 비슷한 용법이 있지만, はずだ미지의 결론을 추정하는 용법이 중심이다. 둘 다 주관적인 판단을 나타내지만, はずだ에는 말하는 사람의 주관이 보다 강하게 나타난다.

【2】이미 알고 있는 상황을 재인식하는 용법은 わけだ만 가능.

미지의 사항에 대한 추정이나 예상과 현실과의 엇갈림(불일치)을 진술할 때에는 はずだ를 사용

 

 

道理…。はふぶきだもの

長年教えてきたこんな生徒めてだ

かにきのうそこにいたんだからある

だなはもっと長身

わけだ

はずだ

 

 

[참고 영상 자료]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728x90

 

다른 사람의 가족

내 가족

할아버지

おじいさん

そふ

 할머니

おばあさん

そぼ

 아버지

おとうさん

ちち

 어머니

おかあさん

はは

 누나 / 언니

おねえさん

あね

 형 / 오빠

おにいさん

あに

나 / 저

 

わたし

남동생

おとうとさん

おとうと

여동생

いもうとさん

いもうと

 

우리와 달리 일본에서는 할아버지, 어머니 등 가족을 말할 때 내 가족을 말할 때와 다른 사람의 가족을 말할 때 각기 다른 다어로 표현한다. 한일간 존댓말을 사용하는데 있어 차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해하기 편하게 설명하자면,

일본에서는 자신의 가족, 자기 학교, 자기 회사, 자기 나라 등 자신과 관계된 무언가를 그렇지 않은 상대방에게 이야기 할 때

겸손하게 말하려고 하고, 반대로 상대방과 관계된 무언가를 말 할 때는 상대방을 존중하는 의미로 높혀 말하려는 경향(규칙)이 있다라고 할 수 있겠다.

 

예를들어 "아버지"라는 단어도 "おとうさん"이라는 단어와 "ちち"라는 단어가 있는데

 

[상황1] (옆에 계신 자기 아버지를 가리키며) 우리 아빠에요.

わたしの ちちです。 혹은  ちちです。

라고 표현한다. ちち라는 단어 안에 "내 아버지"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앞에 "わたしの (나의 / 제)"를 생략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상황2] (건너편에 걸어가고 있는 남자를 가리키며) 저 분, 키무라씨 아버지 아니니?

あの かた、きむらさんの おとうさんじゃ ない?

상대방의 아버지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ちち를 사용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 경우에는 어떤 단어를 사용해야 할까?

 

[상황3] 집에서 아이가 "아빠~ 식사하세요"라고 말할 때 아빠는 어떤 단어를 사용할까?

 

정답은 : おとうさん

 

가족끼리는 윗사람에게 단어 뒤에 ~さん이 붙는 단어를 사용하면 됨.

(쉽게말하면, 가족끼리는 윗분에게는 ~さん이 붙는 표현으로 높임말 사용한다 생각하면 될듯)

 

 

 

추가설명

여동생(いもうと) / 남동생(おとうと)은 손아래사람인데 ~さん이 붙는 표현을 사용할일이 있을까 하는 의문에 대하여...

우리 역시 이런 상황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어느 회사 회장님 비서에게 회장님 남,여동생이 찾아와서 회장님을 만나길 원할 때)

아~ 회장님 남동생분(여동생분) 되십니까.

 

이와 같이 상대방의 동생을 높혀 말해야 할 상황에는  おとうとさん(남동생분) / いもうとさん(여동생분)과 같은 표현을 사용할 때가 있겠다.

반응형
Posted by Silk Rode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